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4)
[알고리즘/계수정렬(Counting Sort)] - 자바 계수정렬에 대해 알아보자 지난 포스팅에서 대부분의 sort알고리즘을 살펴보았는데요. 그 중 빠르다고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은 O(NlogN)의 속도를 자랑하는 퀵정렬,병합정렬이 있죠. 하지만 특정한 경우에 이 알고리즘들 보다도 더 빠른 알고리즘이 존재합니다. 무려 O(N)의 속도를 보입니다. 바로 계수정렬(Counting Sort)인데요. 이름만 봐도 아시겠지만 맞습니다. 세는거에요! [6,3,5,4,8,4,0,3,4,8,0,5,3,2,5,7,8,3,1,2,4] 이러한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가장 큰 값이 8 작은 값이 0입니다. 이 데이터를 정렬한다고 할게요. 0~8의 인덱스를 가지는 1차 배열을 선언해주고 데이터를 돌아가면서 각 인덱스에 값을 1씩 ++해줍니다. 맞습니다 개수를 세는거에요. 그렇게..
Annotation(어노테이션) 자바 코드를 이용한 bean 등록 인터넷 강의를 듣고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합니다. '윤재성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개발자를 위한 실습을 통한 입문 과정' 이란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Annotation Annotation에 대한 내용은 전에 맨 처음으로 포스팅 해놓은게 있으니 모르신다면 한번 봐주세요.. [Spring] Annotation? 어노테이션?이 뭘까 (계속해서 추가 할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스프링을 본격적으로 학습하기 시작하고나서 어노테이션으로 간단하게 객체를 생성하고 데이터들을 받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물론 아직 어노테이 dy-web-box.tistory.com Bean등록 여태까지 xml에 객체 생성하고 java코드에 가져와서 사용을 했지만 전에 이야기 했든 java파일에도 작업할 수 있다. xml파일만 사용하는 경우도 ..
DI(Dependency Injection) 자동주입 인터넷 강의를 듣고 공부한 내용을 포스팅합니다. '윤재성의 스프링 프레임워크 개발자를 위한 실습을 통한 입문 과정' 이란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 자동주입 이전 포스팅 처럼 생성자를 통한 주입이나 setter를 통한 주입을 사용했다. Spring에서는 객체를 주입할 때 자동으로 주입 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름을 통한 주입 TestBean1 obj2 = ctx.getBean("obj2",TestBean1.class); System.out.printf("obj2.data1 : %s\n",obj2.getData1()); System.out.printf("obj2.data2 : %s\n",obj2.getData2()); /* 결과 obj2.data1 : kr.co.softcampus.beans.Data..